팀장 3

너무 화가 나서

너무 화가 나면 화가 나지 않는다. 1월서부터 2월 말까지는 거의 슬럼프였다. 최악이었다. 게다가 신경쓰이는 일, 겹겹이 쌓여가는 고민들도 겹쳐 나를 잡아먹을 것 같았다. 한 해가 거듭될수록, 신중하고 치밀한 계획을 짜는 일이 굉장히 어려워진다. 그 어이없는 일만 없었더라도 내가 지금 펄펄 날라다닐텐데. 정신적으로 입은 이 피해는 결국 나에게 발전적인 방향으로 만들어 가려 애쓰려 한다. 이 얼마나 현자(賢者) 같은 마음보인가. 사건 1. 사업아이디어 카피, 대한민국에서는 정녕 카피 밖에 할 줄 모르는가 이 일에 많이 공감해주시고 위로해주신 분들께 감사하다. 사업과 관련된 일이다 보니까 아무래도 남자분들께서 이해가 더 많이 가신 모양이다. 그래서 그런지 왠지 뒷배가 든든하다. 또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기..

일상과 생각 2012.03.03

졸업프로젝트에 쓰일 방법론 Agile, DSDM

수업준비를 제대로 하려면 흔히들 예습, 복습을 철저히 하라는 말을 많이들 한다. 그것은 중고등학교때 뿐만이 아니라 대학에 진학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대학생이 된 이상, 수업에 대한 내용 이해는 수업 시간 그 자리에서 다 해치워야 한다. 아무리 복습, 예습을 안 했을지라도 대학생이 되어서도 수업시간 때 무슨 내용인지 교수님이 하는 설명을 완벽히 알아듣지 못하면 안 된다는 말이다. 교수님의 설명, 학우들과의 토론 내용은 수업시간때 실시간으로 머릿속으로 따라가야 한다. 대학에서 배우는 양은 엄청나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때 처럼 노트정리할 엄두가 안난다. 그래서, 클라우딩 형식으로 웹에다가 그때그때 내용을 요약한 글이나 수업시간때 필기한 내용을 적어서 따로 저장해 왔는데 올해에는 그것마저도 겁난다. 단순히 ..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네트워킹뱅크 (이하 넷벵)의 팀원-팀장-의사결정자간의 소통을 다이어그램으로 그려보았다. 현재, 이주일 마다 돌아가면서 팀원분들이 팀장을 맡고 순번이 다 돌아가면 팀 내부에서의 추천과 대표님의 선정으로 대표 팀장이 8월에 선출된다. 팀장이라는 역할은 우리가 알고 있는 직급이 높은 상사가 아니라, 팀원과 의사결정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용이하게 하고 팀의 활동 계획을 세우고 팀원들을 신경쓰는, 팀에서의 리더이다. 팀장이 팀원을, 팀원도 팀장을 존중하는 업무 매너가 중요하며 해당 프로젝트가 끝나면 기존의 팀이 해체되고 새로운 팀원들의 조합으로 새로운 팀에서 또 새로운 팀장이 선출되는 방식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그것이 내가 원하는 프로세스가 아닌 '프로젝트'를 중시하는 팀 문화이다.